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Redis
- 객체지향
- 아키텍처
- 레디스
- Developer
- JavaScript
- solid
- Transaction
- OOP
- 데이터베이스
- acid
- PostgreSQL
- AWS
- roadmap
- node.js
- Database
- 백엔드
- 싱글스레드
- 컨퍼런스
- promise
- 개발자
- 경력채용
- Single Thread
- V8
- 트랜잭션
- 면접
- eventloop
- NoSQL
- TypeScript
- architecture
- Today
- Total
devlog.akasai
async/await 병목현상 줄여보기 본문
블로그 글을 보다 나는 지금 어떻게 개발하고 있는지 궁금해서 직접 테스트해보았다.
async/await를 습관적으로 쓰고 있지만, 잘 쓰고 있는지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.
Async/Await의 병목현상
Promise의 등장으로 callback
함수 불편한 부분이 많이 개선되었다.
async/await의 등장은 .then()
체인으로 인한 가독성까지도 보완하였다.
하지만, 정리되지 않은 사용은 함수 수행시간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.
함수 정의
const Promise1 = (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1000))
const Promise2 = (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1100))
const Promise3 = (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1200, 900))
const Promise4 = (time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time))
테스트를 위해 각각 1000, 1100, 1200 그리고 param 값 만큼 딜레이되는 Promise함수를 만들었다.
현상 확인
const main = async () => {
const test1 = await Promise1() // 1000
const test2 = await Promise2() // 1100
const test3 = await Promise3() // 1200
const test4 = await Promise4(test3) // 900
}
main();
위 함수들을 async/await 를 이용하여 실행시키면 동기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총 4200ms 의 수행속도를 보여준다.
Nodejs의 이벤트 처리 특성상 정확히 4200ms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.
Promise.all
const main = async () => {
const [test1, test2, test3] = await Promise.all([
Promise1(),
Promise2(),
Promise3(),
])
const test4 = await Promise4(test3)
}
main();
Promise 함수들을 동시처리할 때 가장많이 사용하는 함수인 Promise.all
을 이용하여 4200ms 에서 2100ms까지 성능개선을 하였다.
거의 절반에 가까운 개선이다.
각 함수들간 의존성이 없을 땐 Promise.all
을 이용하면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.
의존성을 갖는 함수
const main = async () => {
const [test1, test2, test3] = await Promise.all([
Promise1(),
Promise2(),
Promise4(await Promise3())
])
}
main()
위와 같이 의존성을 갖는 함수의 수행위치를 변경하면 속도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.
하지만 위 코드의 수행속도는 2100ms 으로 앞서 수행했던 코드와 동일하다.
왜 일까??
최적화된 코드
Promise.all
을 이용한 개선 결과를 보면 수행시간이 같은 것을 볼 수 있다.
이는 처음 구성했던 함수들의 수행시간과 연관이 있다. 개선이 기대되는 함수 Promise3
의 수행시간이 1200ms로 가장 늦게 종료되는 함수였기 때문에 Worst-case의 수행시간이 측정되었다.
첫 함수의 조건을 좀 변경해보면 눈에 띄는 결과를 볼 수 있다.
const Promise1 = (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3000, 1))
const Promise2 = (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1100, 2))
const Promise3 = (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100, 900))
const Promise4 = (time) => new Promise((resolve) => setTimeout(resolve, time || 0))
각 함수들의 수행시간을 3000, 1100, 100 로 변경하였다.
위 내용을 바탕으로 동기적으로 함수들을 수행해보면 5100ms의 수행시간을 기대할 수 있다.
함수들을 각각 개선해보면 3900ms까지 줄일 수 있었고, 다시 한번 위쪽의 개선코드를 적용해보았다.
const main = async () => {
const [test1, test2, test3] = await Promise.all([
Promise1(),
Promise2(),
Promise4(await Promise3())
])
}
main()
이렇게 적용했을 때, 3000ms 의 결과를 얻었다. 무료 2100ms의 절감효과를 보았다.
결론
async/await는 동기적 프로그래밍에 있어 상당히 도움이 되고, 가독성 역시 꽤 높여주고 있다.
적절한 사용은 큰 문제가 없지만, 다수의 await을 사용은 성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.
구현할 때, 함수간 의존성을 정확히 판단하여 Promise.all
등의 함수를 적절히 사용한다면
미미할지라도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.
Reference
'Programming > 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romise.allSettled() (0) | 2021.12.08 |
---|---|
Node.js의 I/O 동작 (0) | 2021.01.26 |
Node.js의 스레드 (0) | 2021.01.26 |
비동기와 논블로킹 (0) | 2021.01.26 |
Node.js의 이벤트 루프와 비동기 (0) | 2021.01.26 |